[대구 세계타임즈=한성국 기자] 대구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김원규 의원(달성군2)은 지난 11월 8~9일, 이틀 동안 진행된 대구시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역의 공립고를 중심으로 기숙사 수요가 급격히 줄면서 운영이 되지 못해 무용지물로 전락한 학교 기숙사 시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원규 의원은 “2012~2014년 사이 우수 학생을 선발하여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 제공과 면학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력 신장과 사교육비 경감,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겠다는 명분으로 도심지역의 공립고를 중심으로 12개의 기숙사를 지었는데, 10년도 채 지나지 않은 지금 제대로 운영되는 학교가 한 곳도 없다”며 대구시교육청의 기숙사 정책의 문제점을 질타했다.
특히,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보면 최근 3년간(ʹ19년→ʹ22년) 기숙사 운영 학교 수가 14개나 줄었으며 그중 12개가 공립고의 기숙사로 코로나19 이후 기숙사를 희망하는 학생이 없어 대부분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며, 일부 기숙사의 경우 이미 다른 시설로의 전용을 승인(7개교)해 주면서 별도의 예산 지원도 없이 학교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했다고 한다.
더불어, “사립고의 경우에도 기숙사 정원의 50%를 채우지 못하는 학교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공립고의 사정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말하며 장기적으로 학교 기숙사의 수요 예측을 통해 기숙사가 학교의 골칫거리가 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김원규 의원은 “교육청이 추진하는 모든 정책들이 성공할 수는 없다”며 “주어진 상황과 여건을 분석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고 말하며, 교육청이 기숙사 운영 정책 전반을 재점검하고 미운영 기숙사 시설에 대한 활용 방안 등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무용지물로 전락한 공립고 기숙사 -폐쇄된 기숙사 입구의 녹슨 쇠사슬- |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