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립 근거에 없는 교육 연계사업을 부산테크노파크가 전담?
◈ 부산테크노파크는 지산학협력센터를 통해 브랜치사업 추진 중이라고
◈ 대학혁신과 지자체 인재유치 위해서는 부산TP가 아닌,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된 법인기관
설립, 대학협력체의 장과 지자체 장이 공동위원장 수행 해야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배영숙 의원(부산진구4))은 21일 열린 제313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2025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지자체 주도 대학지원체계(RISE)의 전담법인을 부산테크노파크가 아닌 독립적인 법인기관을 설립하여 전문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부산테크노파크는 설립 근거에 맞는 사업으로 재정비하여 몸집 부풀리기를 중단하라고 강력히 촉구하였다.
지역대학의 어려움과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사업(RISE :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을 시행하여, 중앙정부가 대학에 직접 지원하는 국가재정지원사업의 관리·감독 권한을 지자체로 옮길 예정이며, 이번 시범지역에 부산시가 선정되었다.
부산시는 전담부서를 지산학협력과 내에 팀 인원을 충원하여 추진하고, RISE 사업의 총괄·운영은 부산테크노파크의 지산학협력센터를 전담법인으로 지정하여 추진한다고 밝혔는데
배영숙 의원은 지역과 대학이 상생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RISE 사업을 성공적으로 부산시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독립된 전담법인을 설립하고, 그 위원장으로는 대학 협의체의 장과 지자체의 장이 공동위원장 역할을 하여 서로 균형을 이뤄야 한다며 부산테크노파크가 RISE 사업을 전담해서는 안됨을 강조하였다.
특히 부산테크노파크는 현재 8개 단지 7개 분소, 9단 2실, 19팀 15센터의 조직으로 구성돼 있으며 인력도 250명에 육박하는 부산시 산하의 거대기관이다. 부산의 문화·예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업을 도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는 부산시 산하기관 사이의 불만을 야기시키고, 사업 운영 또한 부실하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배영숙 의원은 RISE 사업 관련하여 현재 부산 테크노파크 내 지산학협력단이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브랜치사업의 경우 산·학의 연계 역할만 할 뿐 구체적인 성과가 없으며, 전문인력 양성, 일자리 지원사업의 경우 산·학 연계 후 취업 유지나 인센티브의 관리가 부실하여 RISE 사업 전담기관의 역량이 부족하다고 강하게 질타하였다.
배영숙 의원은 마무리 발언으로 지역과 대학의 혁신을 일으킬 RISE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① 전문가로 구성된 RISE 사업 수행을 위한 별도의 독립된 부산만의 법인기관 설립, ② 부산시 산하 공공기관 각각의 정체성에 맞게 기능과 역할을 명확히 재정립하여 혁신으로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정운영을 강조하였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