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의 “해외 특수지 무역관 근무직원 신변안전 처우 개선해야”

정치 / 심귀영 기자 / 2023-10-13 15:43:18
- 코트라 무역관 중 약 50%는 특수지 및 생활낙후 지역 -
- 대형 재난이 범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해외무역관에서 근무하는 직원 및 동반가족 직접적 위험에 노출돼 -
- 보안상 위험지역에 해당하는 직원에 대한 신변안전 처우개선 필요 -
[세계타임즈 = 심귀영 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재정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경기 안양시동안구을)은 13일 오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유정열) 국정감사에서 “해외 특수지 무역관 근무직원 신변안전 처우 개선해야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이하 코트라)는 금년도 기준 84개국 129개 무역관을 운영 중이다. 2022년 이후 해외무역관 재난 발생 보고사례에 따르면, 특수지 무역관이 소재한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동남아 등에서 지진, 홍수와 같이 자연재해와 폭탄테러, 총기난사 등과 같은 사회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이러한 자연·사회재난은 개인의 신변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며 적시에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생명과 안전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을 짚었다. 별첨 참조

이어 이 위원장은 코트라의 해외무역관 중 특수지 및 생활 낙후 무역관의 비중이 전체의 약 48%(62/129)로, 무역관 둘 중 하나는 보안상 위험지역에 해당하여 보안 사각지대에서 근무하는 해외 파견직원들을 위한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납치, 테러 등과 같은 치안이 불안한 지역의 무역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우리 기업의 수출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는게 이 위원장의 설명이다.

현지 근무 여건이 열악하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를 특수지로 분류하고 위험도에 따라 가·나·다 등급(외교부 분류 등급)으로 나뉜다. 특수지 근무 예정 직원들은 국가정보원 등에서 강도 높은 신변 안전 교육을 받고 있지만, 최근 특수지 무역관 사건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어 정부의 강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최근 5년간, 해외 특수지 무역관 직원 사건사고 주요피해 현황

 

연번

시기

국가

무역관

유형

피해내용

조치사항

1

’19.5

탄자니아

다레살람

도난

근무 중 외부인 침입, 관옥 사무실 집기류 도난

경찰 신고, 용의자 신원
미상으로 사건 종결

2

’19.7

알제리

알제

도난

주차된 직원차량 파손 시도(미수)

교민, 대사관 등 사례 전파

3

21.11

탄자니아

다레살람

도난

관옥 벽을 뚫고 침입 후 물품 절도

경찰보험사 신고

4

22.12

캄보디아

프놈펜

테러

위협

관옥 인근(190m) 사제폭발물 발견

경찰신고, 직원 대피

5

‘23.6

수단

카르툼

약탈

수단 내전 발생 후 관옥 및 직원 자택 약탈 (무역관·개인물품 및 차량 전손)

보상을 위한 절차 진행 중

 

다른 부처·기관과 비교해본 결과 코트라의 해외파견 직원에 대한 안전보장 실태가 열악함을 비교해볼 수 있다. 외교부·KOICA의 경우 모든 재외공관 및 해외사무소에 대해 보안서비스를 보장하고 있는 반면 코트라의 경우 전체 무역관 129개소 중 47개소에 대해서만 보안서비스를 보장하고 있다.

 

기관별 긴급의료 및 보안 이·후송서비스 가입현황

 

구분

KOTRA

외교부

KOICA

대상지역

84개국 129개소

116개국 167개소

51개국 54개소

 

보안

47개소

167개소

54개소

 

의료

129개소

대상인원

830

* 본사파견직원 및 동반가족

7,090

* 재외공무원, 행정직원(한국국적) 및 동반가족

1,102*+단기출장 8,734

* ·간접 해외 파견인력

서비스범위

· 의료·보안지원(긴급 이·후송 서비스 포함)

· 의료·보안 교육지원

보장한도*

· 국가 내 의료 이·후송 및 유해송환 2천만원

· 인접국, 본국 의료 이후송 4.5억원

· 보안이송 1천만원

· 의료 이·후송 $1백만

수행예산

185백만원

1,900백만

2,340백만

(개소당 예산)

무역관당 3.9백만원

재외공관당 11.3백만

해외지사당 43.3백만

 

마지막으로 이 위원장은 “코트라는 해외무역관이 핵심자산이다”라며, “어려운 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원과 가족에 대한 신변안전 처우개선을 위해 정부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