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양돈장에 인공지능(AI) 본격 도입!

경남 / 최성룡 기자 / 2025-07-03 12:27:06
- 도, 양돈 인공지능(AI) 번식관리시스템 구축사업 추진
- 총 13억 4,500만 원 사업비 확보하고 스마트축산업 활성화
- 돼지 생산성은 높이고, 축산농장 인력 부족 해소 기대
[세계타임즈=경남 최성룡 기자]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3일 양돈농가 생산성 향상과 지속 가능한 축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 양돈 인공지능(AI) 번식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와 고령화.인력난 등으로 인한 양돈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정밀 사양관리 기술을 통해 돼지 번식률 향상과 새끼돼지(자돈) 생존률을 높이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농가에서도 신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경남도는 시군 수요량을 고려하여 양돈장 6개소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에 따라 개소당 2억 5천~3억 8천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비 2억 4,210만 원과 시군비 5억 6,490만 원, 자부담 5억 3,800만 원을 포함하여 총 13억 4,500만 원을 투입하게 된다.


* 지원비율 : 보조 60%(도비 18%, 시군비 42%), 자부담 40% 

▲ 양돈 인공지능_분만사 관리 시스템 모식도
▲ 양돈 인공지능_분만사 관리 시스템 현장사진

양돈 인공지능(AI) 적용 시스템 주요내용은 ▲실시간 돼지 생체정보 분석 플랫폼 ▲어미돼지 전용 자동 급이 ▲3D 센서 및 행동 패턴 감지 ▲분만 감지 시스템 등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반 정보통신기술 장비와 설비를 갖추어 어미돼지(모돈)의 임신.분만.포유 등 전 주기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미돼지의 체형 변화와 행동 이상, 그리고 분만 알림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적시에 대응하고 폐사율을 낮추는 한편, 보다 효과적으로 양돈장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사업 시행을 통해 경남도는 양돈 인공지능(AI) 번식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을 2027년까지 3개년에 걸쳐 18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며, 국비 지원으로 추진하는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 사업과 연계하여 스마트축산업 활성화에 매진할 계획이다.

박동서 경남도 축산과장은 “축산업의 대형화에 따라 농장 자동화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인건비는 상승하고 노동력은 부족한 실정이다”면서, “스마트축산을 통해 생산성은 높이고 노동력을 절감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