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해당 조사는 전국의 19세 이상의 운전면허 소지자, 1,331명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28일부터 2017년 1월 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표준오차는 95%(신뢰수준 + - 2.56%)이다.
운전자 대부분은 음주 후 주행이 ‘그 자체로 위험하다’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술을 2잔 이상 마신 후 주행_90.2%, 4~5잔 마신 후 주행_97.7%) 대부분 음주운전 시 교통사고 위험이 100%이상 증가한다고 응답(78.1%)하였다.
또한 개인의 음주 후 주행 경험을 묻는 질문에도 술을 2잔 이상 마신 후(10.1%), 4~5잔 마신 후(3.7%)의 주행 경험이 있다고 답변하여 음주운전에 대한 위험성의 인식과 습관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주행 중 휴대폰 사용형태도 ‘그 자체로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상황은, 통화(73.9%), 운전 중 문자, 이메일 확인 혹은 발송(89.9%), 운전 중 휴대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뉴스 읽기(96.6%)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인의 운전 습관을 묻는 질문에는 통화(76.7%), 운전 중 문자, 이메일 확인 혹은 발송(47.3%), 운전 중 휴대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뉴스 읽기(12.9%) 등 운전 중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많은 운전자들이 운전 중 통화를 위험하다고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주행 중에 통화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증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의 47.3%가 ‘51~100%’라고 답변, 음주운전과 달리 주행 중 휴대폰 사용의 위험도에 대해서 낮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번 설문 결과 운전자들은 음주운전과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음주운전이나 주행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전국안전연구소(National Safety Council)의 2014년 통계를 보면, 매년 주행 중 휴대폰 사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교통사고는 160만 건에 이르며, 매년 33만명이 상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행 중 문자를 보내는 것은 음주운전 대비 위험 가능성을 4배나 증가시킨다고 한다.
이에 악사손해보험 관계자는 “이번 설문을 통해, 위험에 대한 인식과 실제 행동에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며 “악사손보는 매년 교통안전 설문을 통해 인식과 실제 운전습관의 변화를 확인하고 운전자의 운전습관 개선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교통안전 캠페인을 진행하여,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드는데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